Git & GitHub

[Git & GitHub] 깃(Git)의 정의 및 실습(2)

wookjae 2021. 10. 12. 00:49

* 깃(Git) - 커밋(Commit) ?

--> 커밋이란 깃(Git)의 새롭게 반영할 목록을 패키징(Packageing) 하는 것이며, 이는, 하나의 새로운버전을 생성하는 것이다. 버전(Version)으로 관리되므로 문제발생시, 원하는 버전으로 회귀가 가능하다. 

  • Version3 -- third commit
  • Version2 -- second commit
  • Version1 -- first commit     

 

* 깃(Git) - 애드(Add) ?

--> 커밋(Commit)으로 만들어질 파일목록을 선택 및 반영 

( NewPage[ page1, page2, page3 ] --> Add[page1, page3] --> "Commit - Create New Version" )

 

 

 


 Git Exercise..

 

 

1. 깃(Git) 로컬저장소 경로이동 및 오픈 (Visual Studio Code)

* 상단메뉴 파일 --> 파일열기 --> 경로선택("이전, 생성된 로컬저장소")

 

 

2. 로컬저장소 새로운 파일생성 및 작성.

 

 

3. 작성된 일부내역 반영 (로컬저장소)

$ git add README.md
--> README.md 파일만 Add..

$ 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
--> 위, add내역 커밋(새로운 버전생성) 

--> 커밋 메세지는 새로 생성되는 버전에관한 설명이므로 필수 작성대상..이다..

 

4. 깃 로그확인 

$ git log
--> 깃(Git)의 Commit 상태를 확인.. 로그확인

커밋 확인 - my first commit (Commit Message) 

 

 

5. 새로운파일 생성 및 반영 (app.js)

$ git add .
--> 현재 경로에 파일 전체 Add.. 

$ 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

 

 

4. 깃 로그확인 

$ git log

--> 2회 커밋에 관하여 로그(Log) 확인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