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Command 8

[Linux] 프로세스 정보확인 (ps)

ps(process status) ? (운영체제'OS' - Linux)에서 ,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목록과 상태를 조회하는 명령어. [ 자주사용되는 옵션 ] -e 시스템 전체 프로세스 -f Full-format (전체포멧 출력) -L Thread까지 출력 (하나의 프로세스에 Multi Thread..) -L 미사용시 프로세스의 목록출력 --forest 프로세스를 Tree형태로 구성하여 출력 (부모-자식) -o output formatting (출력 필드정보 설정) --sort 정렬적용 [ 주요코드 / 출력필드(헤더) / 의미 ] 코드 출력헤더 의미 user UID/USER 유저정보(아이디) pid PID 프로세스 아이디 ppid PPID 부모 프로세스 아이디 tty TTY 실행 터미널 cputime ..

Linux Command 2021.10.09

[Linux] 파일내용 정렬(sort)

sort ? 파일내용 또는 목록을 행 단위(Row)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명령어. [ 자주사용되는 옵션 ] -k Num : 정해진 컬럼위치(Num) 기준으로 정렬 (-t 옵션 함께사용) -t '구분자' : 필드 구분자(Seperator) 지정, 기본 값은 공백문자 -f : 무시케이스 (대,소문자 구분X) -g : 일반적인 숫자기준 정렬 -n : 라인의 각 필드를 비교하는 대상을 (숫자)로 한정 -r : 역순정렬 -u : 내용이 같은 중복 행 제거 [ 입력 및 실습 ] 1. /etc/passwd 파일 기본출력 $ cat /etc/passwd 2. /etc/passwd 파일 출력후 정렬(1) $ cat /etc/passwd | sort --> cat으로 출력된 passwd파일 내용을 파이프 '|'로 입..

Linux Command 2021.10.01

[Linux] 파일정보 확인 및 파일권한,소유권 변경 (chmod, chown)

chmod (Change mode) ? --> 파일또는 디렉토리에 관하여 권한(Permission)을 변경하는 명령어. chmod 구조 ? --> chmod [ 퍼미션 값 ] [ 대상파일 or 대상디렉토리 ] 퍼미션 값 계산 ? 각 퍼미션 기호를 숫자로 변환 ( r = 4 , w = 2 , x = 1 ) Cf) r - x 인 경우 --> 4 0 1 변환한 숫자를 합산 Cf) 4 0 1 인 경우 --> 4 + 0 + 1 = 5 Cf) rwxr-xr-x 일시 rwx r-x r-x 세자리씩 끊고, 4+2+1 | 4+0+1 | 4+0+1 숫자변환 뒤 합산 ("755") 디렉토리의 경우 "-R" 옵션을 사용시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디렉토리및 파일의 퍼미션이 변경된다. Cf) chmod -R 777 dev --> ..

Linux Command 2021.09.23

[Linux] 파일 구성정보 확인(wc)

wc (Word Count) ? 파일의 라인 수, 단어 수, 문자 수(Byte Count)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. [ 자주사용되는 옵션 ] -l : 라인 수 정보만 출력 (지정한 파일이 몇 라인으로 구성되어있는지?) -w : 단어 수 정보만.. -c : 문자 수 정보만.. (Byte Count) [ 입력 및 실습 ] 1. /etc/passwd 파일 구성정보 확인 (라인,단어,문자) $ wc /etc/passwd 19(라인 수) / 27(단어 수) / 853(문자수 == Byte Count) / 조회경로 2. /etc/passwd 파일 정보확인 (파일권한, 소유정보, 용량, 생성일시, 내용..) $ ls -al /etc/passwd (option -a: 숨긴파일, 디렉토리 표기, -l : 상세정보 표기..

Linux Command 2021.09.23

[Linux] 파일내용 줄 번호 표시(nl)

nl (Line Number) ? 파일의 내용을 보여줄 때, 라인의 번호를 함께 출력하는 명령어이며. 기본적으로, 라인에 문자가 없는 공백일시 해당 라인은 번호표기가 적용되지 않는다. [ 자주사용되는 옵션 ] -ba : 모든 라인에 대해 라인 넘버링 -v 'Num' : 시작 라인 숫자를 Num으로 지정 -s 'Str' : 라인넘버 출력 후, 출력할 구분자(Str) 적용 [ 입력 및 실습 ] 1. /etc/passwd 파일 전체출력(1) $ cat /etc/passwd --> passwd 파일내용 출력 $ nl /etc/passwd --> passwd 파일내용 출력 + (줄 번호 표기) 2. /etc/passwd 파일 전체출력(2) $ cat /etc/passwd | nl --> cat으로 출력된 pass..

Linux Command 2021.09.23

[Linux] 'bashrc' 사용 한 Alias설정.

Alias? 알리아스(Alias)는 별칭이며, 리눅스의 명령어를 간단한 이름으로 축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쉘(Shell) 내부 명령어이다. 즉, 복잡한 명령어나 여러옵션을 사용하는 명령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 Alias설정 (1) ($ ~/.bashrc || $ /home/'사용자계정'/.bashrc) --> 별칭(Alias)과 bash가 수행될 때 함수를 제어하는 지역적(로그인 유저)의 시스템설정과 관련된 파일이다. 이들 별칭과 함수들은 오직 사용자에게만 한정되며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. Alias설정 (2) ($ /etc/bashrc) --> ~/.bashrc 파일이 특정사용자에 관한 환경설정(파일) 이라면 /etc/bashrc는 전체(모든 사용자)에게 영향을..

Linux Command 2021.09.16

[Linux] 파일내용 뒤로부터 출력(tail)

tail ? 파일의 뒷부분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며. 기본적으로, 옵션을 지정하지 않을 시, 파일 최하단으로부터, 10라인 출력한다. [ 자주사용되는 옵션 ] -c 숫자 : 뒤에서부터 Byte만큼계산하여 출력 -n (+)숫자 : 뒤에서부터 숫자라인수만큼 출력, (+) 표기시 최상단에서 지정한숫자 라인으로부터 파일 끝까지 출력 -f [{name|descr}] : 추가되는 내용은 대기하며, 이후 추가된 내용을 append하여 출력 (f: follow) -F : 소문자 f옵션과 기능이 일치하며, 기존파일이 Truncate되는 경우 다시 파일을 오픈하여 파일내용을 follow함.. (활용처: 일정크기가 넘어가면 갱신되는 로그파일) [ 입력 및 실습 ] 1. /etc/passwd 파일 전체출력 $ cat /etc/p..

Linux Command 2021.09.15

[Linux] 파일내용 앞에서 부터 출력(head)

head ? 파일의 앞부분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며. 기본적으로, 옵션을 지정하지 않을 시, 파일 최상단으로부터, 10라인 출력한다. [ 자주사용되는 옵션 ] -c 숫자 : 지정한 숫자만큼 Byte계산하여 출력 (Byte입력시 K M G T 단위 입력가능 Cf. 10M) -n (-)숫자 : 지정한 숫자만큼 라인수 출력, 마이너스 붙을시 지정한 숫자만큼 끝에서부터 라인 수 제외 [ 입력 및 실습 ] 1. /etc/passwd 파일 전체출력 $ cat /etc/passwd 2. /etc/passwd 파일 최상단에서 10라인 출력 $ head /etc/passwd 3. /etc/passwd 파일 최상단에서 1라인 출력 $ head -n 1 /etc/passwd 4. passwd파일전체 head 명령어 처리(1) ..

Linux Command 2021.09.15
1